블로그

오늘은 지난 번 소개해 드린 ‘ESG와 DX(디지털전환)’에 이어 2024년에 꼭 알아야하는 ESG 트렌드인 ‘ISSB 기반 공시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ESG 경영은 ‘왜 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하는가?’로 바뀌었습니다. 글로벌 ESG 정보 공시가 글로벌 규제로써 영향력을 점차 확장하고 있어 사정이 예전과는 크게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앞선 글에서 소개해드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으로 보는 것과 같이, 현재 ESG 관련 규제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유럽입니다. 유럽연합은 철강·알루미늄·시멘트·비료·전력·수소 등 6개 품목 수입품의 탄소배출량이 기준치를 넘으면 관세를 징수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해 시범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또한 배터리 생산부터 폐배터리까지 생애주기 전반을 배터리 여권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EU 배터리법도 지난 7월 승인되어 2026년 시행 예정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에게 주어진 최우선의 과제는 바로 공시입니다. IFRS(국제회계기준)재단 산하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는 지난해인 2023년 기후 공시 관련 기준을 확정하여 IFRS S1(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IFRS S2(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발표했습니다. 여기서 ‘기후’ 관련 공시 기준이 먼저 발표된 이유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에서 지속가능성 관련 사안 중 최우선 과제로 기후(climate)를 선정했기 때문이며, 다른 ESG 이슈에 대한 공시 기준도 순차적으로 제정될 예정입니다.

ISSB에 따르면 최근 아랍에미레이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기업과 투자자, 증권거래소, 회계법인, 비정부기구(NGO), 데이터 분석기관, 대학 등 400개에 가까운 기관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ESG 공시기준 사용을 약속하거나, ISSB 기준 채택 확대를 지지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영국과 호주, 일본, 홍콩, 싱가포르, 브라질 등은 ISSB 기준을 기반으로 ESG 공시 기준으로 제정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또한 EU(유럽연합)는 ESRS 기준과 ISSB 기준간의 상호운영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여러 나라에서 ESG 공시 의무화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다수의 국가가 ISSB 기준을 참조하거나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내년부터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2026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가 의무화 됩니다. 그리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가 공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이러한 ESG 정보 공시에 대한 요구는 국내 차원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이미 코 앞으로 다가온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수출 기업은 ISSB 기준에 대해 사전에 숙지하고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금융위원회가 IFRS-ISSB를 참고하여 ESG 공시 의무화를 추진화 한다고 합니다. 2026년 이후 도입 예정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기준의 초안은 올 3~4월 중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국내 상장기업에 적용할 ESG 공시 기준을 회계기준원 등 유관 기관과 함께 만들고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글로벌 정합성을 갖춘 공시 기준을 제시하여 기업 이중 공시 부담을 줄인다는 방침이라고 합니다. 미국이나 유럽연합(EU) 등 주요국 ESG 공시 기준과 상호 운용할 수 있도록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등 글로벌 공시 기준에 기반을 두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각국의 공시 제도의 표준화와 의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은 갈수록 기업의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여러 규제에 대한 정보, 우리 기업의 환경 관련 데이터 측정, 앞으로의 진행 방향 등에 대한 새로운 업무를 진행해야 합니다. 플랜이에스(PlanESG)는 아직은 낯선 ESG 경영 관리에 도움이 되는 중계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 상담을 원하신다면 지금 바로 데모를 요청해보세요